지금 이 현재
GitHub
  • INTRO
  • CATEGORY
    • Java
      • JVM(Java Virtual Machine)
      • System.arraycopy()
      • toArray 함수 호출 시 빈 배열을 전달해야 하는 이유
      • POI Excel 인쇄 영역, 페이지 나누기 설정
      • Overloading & Overriding
      • Functional Interface
      • computeIfAbsent 메소드를 알아보자
    • Computer Science
      • 캐리지 리턴 문자('\r')
    • Kotlin
      • Java 와 다른 Kotlin
    • C++
      • ios_base::sync_with_stdio 의 역할과 사용 이유
    • Javascript
      • 자바스크립트 기본 - 문법
      • 자바스크립트 기본 - 함수
    • MySQL
      • EXPLAIN
    • Android
      • Android 기초
    • Error
      • macOS 업데이트 후 mysql 실행 에러
    • Algorithm
      • 모듈러 산술 (Modular Arithmetic)
  • BOOK
    • 헤드퍼스트 디자인 패턴
      • 전략 패턴(Strategy Pattern)
      • 옵저버 패턴(Observer Pattern)
      • 커맨드 패턴(Command Pattern)
      • 데코레이터 패턴(Decorator Pattern)
    • 자바의 정석
      • Chapter 14. Lambda & Stream
    • 함께 자라기
      • 자라기
  • STUDY
    • 99클럽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n^2 배열 자르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4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5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전화번호 목록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6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의상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7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하노이의 탑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8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기능개발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9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더 맵게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0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이중우선순위큐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1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카드 뭉치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2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H-Index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3일차 TIL] 백준 - 숫자 카드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4일차 TIL] 백준 - 숫자 카드 2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5일차 TIL] LeetCode - Prefix and Suffix Search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모음사전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7일차 TIL] 백준 - 촌수계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8일차 TIL] 백준 - 단지번호붙이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19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구명보트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0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큰 수 만들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1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피보나치 수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2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멀리 뛰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3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마법의 엘리베이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4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대충 만든 자판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29일차 TIL] LeetCode -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1일차 TIL] 백준 - 점프 점프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2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무인도 여행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3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리코쳇 로봇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4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타겟 넘버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5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게임 맵 최단거리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6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
      • [99클럽 코테 스터디 37일차 TIL] 백준 - 부등호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[level 2] 모음 사전 - 84512
  • 풀이 코드
  • 개선하기
  • 개선하기 + 개선하기
  • 개개개선하기
  • 돌아보기
  • 다음에는
  1. STUDY
  2. 99클럽

[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] 프로그래머스 - 모음사전

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 입니다.

Previous[99클럽 코테 스터디 15일차 TIL] LeetCode - Prefix and Suffix SearchNext[99클럽 코테 스터디 17일차 TIL] 백준 - 촌수계산

Last updated 9 months ago

[level 2] 모음 사전 - 84512

구분

완전탐색

문제 설명

사전에 알파벳 모음 'A', 'E', 'I', 'O', 'U'만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, 길이 5 이하의 모든 단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. 사전에서 첫 번째 단어는 "A"이고, 그다음은 "AA"이며, 마지막 단어는 "UUUUU"입니다.

단어 하나 w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단어가 사전에서 몇 번째 단어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word의 길이는 1 이상 5 이하입니다.

  • word는 알파벳 대문자 'A', 'E', 'I', 'O', 'U'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

입출력 예

word
result

"AAAAE"

6

"AAAE"

10

"I"

1563

"EIO"

1189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사전에서 첫 번째 단어는 "A"이고, 그다음은 "AA", "AAA", "AAAA", "AAAAA", "AAAAE", ... 와 같습니다. "AAAAE"는 사전에서 6번째 단어입니다.

입출력 예 #2

"AAAE"는 "A", "AA", "AAA", "AAAA", "AAAAA", "AAAAE", "AAAAI", "AAAAO", "AAAAU"의 다음인 10번째 단어입니다.

입출력 예 #3

"I"는 1563번째 단어입니다.

입출력 예 #4

"EIO"는 1189번째 단어입니다.


풀이 코드
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HashMap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 solution(String word) {
        Map<String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 String[] arr = {"A", "E", "I", "O", "U"};
        int index = 1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            map.put(arr[i], index++);
            for (int j = 0; j < 5; j++) {
                map.put(arr[i] + arr[j], index++);
                for (int k = 0; k < 5; k++) {
                    map.put(arr[i] + arr[j] + arr[k], index++);
                    for (int o = 0; o < 5; o++) {
                        map.put(arr[i] + arr[j] + arr[k] + arr[o], index++);
                        for (int p = 0; p < 5; p++) 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p.put(arr[i] + arr[j] + arr[k] + arr[o] + arr[p], index++);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map.get(word);
    }
}
  • Time: 57.07 ms

  • Space: 80.2 MB

배열 크기가 5 밖에 안되기 때문에 for 문을 다섯번 중첩해서 정말 단순하게 풀었다. 그리고 재귀로 개선해봤다.

개선하기
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HashMap;

class Solution {
    
    private Map<String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    private int index = 0;
    
    
    public int solution(String word) {
        String[] vowels = {"A", "E", "I", "O", "U"};
        
       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            insert(vowels, "", i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map.get(word);
    }
    // vowel, depth : "", 0 -> "A", 0 -> ...
    public void insert(String[] vowels, String vowel, int depth) {
        if (vowel.length() == 5) return;
        String word = vowel + vowels[depth]; // "" + "A" -> "A" + "A" -> ...
        index++; // 1 -> 2
        map.put(word, index); // "A", 1 -> "AA", 2 -> ...
       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            insert(vowels, word, i); // word, i : "A", 0 -> ...
        }
    }
}
  • Time: 14.45 ms

  • Space: 81 MB

재귀이긴한데 뭔가 부족한 재귀 풀이다. insert() 메서드만 보면 첫번째 문자열을 스스로 전달하고 있지 않아서 만약 문자열 "A" 만 전달하게 되면 "AAAAU" 에서 재귀는 끝나버린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문을 통해 insert() 메서드를 호출하고 있는 상태다. insert() 메서드를 한번만 호출해서 해결하기 위해 한번 더 개선해봤다.

개선하기 + 개선하기
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HashMap;

class Solution {
    
    private Map<String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    private int index = 0;
    
    
    public int solution(String word) {
        String[] vowels = {"A", "E", "I", "O", "U"};

        insert(vowels, "");

        return map.get(word);
    }
    
    public void insert(String[] vowels, String vowel) {
        map.put(vowel, index++);
        if (vowel.length() == 5) return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            insert(vowels, vowel + vowels[i]);
        }
    }
}
  • Time: 5.6 ms

  • Space: 79 MB

이러면 insert() 메서드 스스로가 첫번째 문자열을 전달해줄 수 있다. 하지만 여전히 아쉬운 부분은 word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이 생성되더라도 재귀는 끝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생각했다.

그래서 word 와 생성한 문자열이 동일하면 재귀를 끊어내고 싶어서 아래와 같이 한번 더 개선해봤다.

개개개선하기

import java.util.Map;
import java.util.HashMap;

class Solution {
    
    private Map<String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    private int index = 0;
    private boolean isWord = false;
    
    
    public int solution(String word) {
        String[] vowels = {"A", "E", "I", "O", "U"};

        insert(vowels, "", word);

        return map.get(word);
    }
    
    public void insert(String[] vowels, String vowel, String word) {
        map.put(vowel, index++);
        if (vowel.equals(word)) {
            isWord = true;
            return;
        }
        if (vowel.length() == 5 || isWord) return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            insert(vowels, vowel + vowels[i], word);
        }
    }
}
  • Time: 5.82 ms

  • Space: 74.7 MB

word 문자열과 동일한 문자열을 생성하면 isWord 라는 boolean 값을 true 로 변경하고 true 인 경우에 return 하도록 구현해서 메모리 사용량에서 조금 더 개선해봤다.


돌아보기

여전히 재귀 함수는 익숙하지 않고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서 구현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. 재귀 함수를 문제들을 자주 풀어보면서 뇌를 말랑말랑하게 해야겠다.

다음에는

  •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기

  • BFS, DFS 공부하기


#99클럽 #코딩테스트준비 #개발자취업 #항해99 #TIL

문제 링크